반응형
728x170
이순신 장군과 상사뱀 이야기
전설이라는 것이 실제로 있었던 일인지 가상으로 꾸며진 일인지는 사실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전해지는 전설에 우린 고개를 끄떡이게 되지요.
요즘 떠들썩하게 하는 영화 ‘명량’의 주인공인 이순신 장군의 전설이 있기에 옮겨 봅니다.
이순신이 젊은 시절 공부를 할 때였다.
어느 날 한 낯선 사람이 이순신을 찾아와 뜻밖의 이야기를 했다.
자기 딸이 물에서 목욕하는 이순신을 우연히 보고 상사병이 들어 죽을 지경이 됐는데 죽기 전에
꼭 한번 만나보기를 갈망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이순신은 마침 그날 집안에 일이 있던 터라 다음날 그 집에 찾아가겠다고 약속을 했다.
그런데 밤사이에 큰 비가 내려 강물이 크게 불어나고 말았다.
이순신이 그 집에 가려고 길을 나섰으나 아무리 해도 물을 건널 방도가 없었다.
결국 하루를 더 지체하고 그 다음날이 되어서야 처녀의 집에 이르렀는데, 도착하고 보니 이순신을
기다리던 처녀가 설움을 못 이겨 세상을 떠난 뒤였다.
한을 품고 죽은 처녀는 커다란 뱀이 되었다고 했다.
처녀의 부모가 만류했으나 이순신은 처녀의 죽음이 자기 탓이라며 그 곁에서 밤을 지내겠다고 뱀이 있는 방으로 들어갔다.
이순신이 방으로 들어가자 뱀이 그 몸을 칭칭 감았다.
이순신은 뱀의 행동을 말없이 받아주었다.
이순신의 몸을 꼭꼭 감고 있던 뱀은 다음날 날이 밝자 스스로 몸을 풀더니 전날 이순신이 목욕하던 물속으로 스며들어가 용이 되었다.
이후로 용은 이순신을 따라다니며 그를 지켜주고 도와주어서 이순신이 임진왜란 때 큰 공을 세울 수 있도록 했다고 한다.
처녀가 이순신을 만나기를 소망한 것은 명분이 없는, 범람한 욕망에 해당하는 일이었다.
이순신으로서는 무시해도 그만인 일이었다.
그 뜻을 받아주기로 하면 오히려 조롱과 비난의 대상이 될 수 있는 터였다.
그렇지만 그것은 명분을 따지기에 앞서 한 인간의 애절한 소망이었다.
한 사람의 목숨이 달린 일이었다.
그 마음 받아주고 풀어주는 것,
그것이 인간에 대한 진정한 예의다.
그리하여 이순신은 처녀의 집으로 향하였던 것이다.
거기까지는 누구라도 그리 할 수 있겠다.
놀라운 것은 그 뒤의 일이다.
뱀으로 변한 여인과 밤을 함께 지낸 일 말이다.
그 집을 찾아오기 위해 최선을 다한 터이니 할 일 다 했다고 돌아설 수도 있으련만, 이순신은 끝까지 인간에 대한 예의를 버리지 않았다.
징그러운 뱀이 도사린 방문을 열고 들어가 자신의 몸을 감는 뱀의 행동을 묵묵히 받아주는 그의 행동은 얼마나 경이로운지. 그 선택을 통해 원한은 거꾸로 은혜가 되었으니, 이것이 바로 전설이 전하는 인간사의 섭리다.
이순신에 관한 전설과 역사적 진실의 연관이 어떤가 하면, 그 연결논리 또한 자명하다.
저 이름 없는 한 여인을 진정으로 품어주고 지켜주는 존재였으니, 이 땅 백성들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군사들의 안위를 책임지기 위해 오죽이나 마음을 쓰고 노력했까 말이다.
처녀가 용이 되어서 이순신을 도왔다지만, 그것은 하나의 서사적 상징일 뿐이다.
이순신은 스스로 그 자신을 도운 것이다.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는 사실!
반응형
그리드형
'감동글 모음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무것도 갖지 않은 사람은 행복합니다. (0) | 2021.03.11 |
---|---|
부모님께 문안 안부 전화 하십니까? (0) | 2021.03.11 |
타인을 쉽게 판단하지 마세요.(한 의사가 응급수술을 위한 긴급전화를 받고...) (0) | 2021.03.11 |
가슴 뻥 뚫리게 한 법륜스님의 "잘 늙는 법" (0) | 2021.03.11 |
우리가 사람답게 산다는 것은 (0) | 2021.03.11 |